절차탁마Q

절탁Q 4월 5일 공지

작성자
박규창
작성일
2017-03-29 20:37
조회
221
 

 

플라톤의 『국가·政體』 9권까지 읽었네요. 이제야 플라톤의 이데아나 철인 같은 개념들을 어느 정도 알게 된 것 같습니다. 플라톤은 철인이 통치하는 사회를 이상적인 사회의 본으로서 제시합니다. 하지만 채운쌤은 노자도 그렇고, 플라톤도 이상적인 사회를 제시하고 있지만 그 속에서 우리에게 정치에 대한 핵심을 얘기하고 있다고 하셨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플라톤의 철학을 따라가면서 그것의 실현 가능성을 따지기보다는 그가 어떤 현실적 고민에서 이것을 얘기할 수밖에 없었는지를 생각해야 하는 것이죠.

이번에 인상적인 부분은 민주정체가 정체 중에서 가장 타락한 정체인 참주정체 이전의 단계라는 것입니다. 플라톤이 보기에, 민주정체의 핵심은 자유와 평등입니다. 이러한 가치에서 사람들은 누구나 자유롭게 부(富)를 욕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플라톤은 사람들이 모두 평등하다는 것에서부터 의문을 제기합니다. 이것은 사회가 불평등해야 된다는 것이 아니라 이미 태어날 때부터 다르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누구는 수공예를 하는 데 더 적합하고, 누구는 싸움을 하는 데 더 적합합니다. 그런데 평등이라는 가치에서 이런 구분은 없어집니다. 그리고 사람들이 ‘멋대로 할 수 있는 자유’를 행사하면서 소크라테스라는 위대한 인물이 죽는 안타까운 상황이 벌어지는 것이죠.

플라톤은 정치의 핵심으로 ‘참된 즐거움’을 제시합니다. 하지만 보통 사람들은 ‘참된 즐거움’보다는 즐거운 것으로 ‘보이는 것’에 집착합니다. 대표적인 것이 ‘부’인데, 사람들은 ‘부’에 의해 마음이 좌지우지됩니다. 그러나 플라톤은 이렇게 변하는 것은 ‘참된 즐거움’이 아니고, ‘참된 즐거움’이 아닌 것들을 좇는 이상, 그것이 어떤 정체라 할지라도 이미 타락한 정체라고 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참된 즐거움’을 알아야 하는데, 이것은 또한 ‘이데아’를 인식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플라톤은 ‘참된 즐거움’과 정치를 연결합니다.

“왜 사람들은 행복하지 않지? / 진짜 행복을 모르기 때문이다!” 플라톤은 여태껏 ‘이데아’를 다양한 방법으로 얘기했습니다. 이번에는 영혼과 관련해서 얘기하는데, ‘이데아’를 인식하는 사람인 철인은 자신의 영혼을 이성으로 다스린 사람입니다. 따라서 ‘이데아’를 인식한다는 것은 우주의 질서를 깨닫는 것이기도 하지만 자신의 영혼에서 이성을 키운 사람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흔히 이상적인 통치방법을 얘기할 때 법과 같은 외부의 질서에서부터 시작하는데, 플라톤이 생각하는 정치의 시작은 자기 자신에 대한 다스림인 것입니다. 따라서 정치도 결국 수련이 되지 않으면 잘 할 수 없는 것입니다. 오늘도 이렇게 기-승-전-공부로 마무리하네요. ^^;;

 

다음 주에는 드디어 『국가·政體』의 마지막 10권을 읽어 오시면 됩니다. 그리고 다음 주에는 에세이의 주제를 무엇으로 할 것인지 ‘문제화’해서 개요를 짜오시면 됩니다. 서론까지 쓰시면 더 좋습니다. ㅎㅎ 다음 주 간식은 저랑 건화형이고, 생생한 후기는 유주쌤과 혜원누나가 올려줄 것이니 기대해주세요~
전체 1

  • 2017-03-31 10:11
    공지를 읽어보니 중요한 수업을 빠진 것 같네요... 후기쓰시는 분들이 후기로 보충수업을 해주시리라 믿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