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m, mem!

11월 20일 번역

작성자
윤몽
작성일
2016-11-20 17:20
조회
257
En premier lieu, une recherche proprement historique : comment des domaines de savoir ont-ils pu se former à partir des pratiques sociales?

 

첫 째로, 본래의 역사적 연구 : 어떻게 앎의 영역이 사회적 실천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었는가?

 

La question est la suivante : il existe une tendance que nous pourrions appeler, un peu ironiquement, de marxisme acadèmique; et qui consiste à chercher de quelle manière les conditions économiques d'existence peuvent trouver dans la conscience des hommes leur reflet et leur expression.

 

그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조금 아이러니하게도, 아카데믹한 맑시즘으로부터 얘기해볼 수 있는 한 경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경향은 어떻게 인간의 의식 속에서 경제적 조건들의 반영과 발현을 찾을 수 있는가에 있습니다.

 

Il me semble que cette forme d'analyse, traditionnelle dans le marxisme universitaire en France et en Europe, présente un défaut trés grave : celui de supposer, au fond, que le sujet humain, le sujet de connaissance, et les former de la connaissance elles-memes, sont d'une certaine façon donnés préalablement et définitivement, et que les conditions économiques, sociales et politiques de l'existence ne font plus que se déposer ou s'imprimer dans ce sujet définitivement donné.

 

프랑스와 유럽대학에서 전통적인 이런 식의 분석은 매우 심각한 오류가 있습니다. 이런 분석은 인간의 문제, 그리고 지식 자체의 형식이 미리 확정적으로 주어진 특정 방법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전제합니다. 그리고 경제, 사회, 정치적인 조건들이 더 이상 이 자명하게 주어진 문제 안에 쌓이거나 남겨지지 못 한다는 걸 전제합니다.

 

Mon but sera de vous montrer① comment les pratiques socials② peuvent en venir á engendrer des domains de savoir③ qui non seulement font apparaître de nouvenaux objets, de nouveaux concepts, de nouvelles techniques, mais aussi font naître des formes totalement nouvelles de sujets et de sujet de conaissance.④ Le sujet de connaissance a lui-même une histoire, la relation du sujet avec l’objet, ou, plus clairement, la vérité elle-même a une histoire.

 

나의 목표는 당신들에게 보여주는 것입니다.① 어떻게 사회적 실천들이② 새로운 대상, 새로운 개념, 새로운 기술들을 나타나게 만들 뿐 아니라 완전히 새로운 주체와 인식주체의 형태를 탄생시키는④ 앎의 영역을 발생시키기에 이를 수 있었는지를.③ 인식의 주체는 그 자체의 역사, 주체와 대상의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좀더 명확하게, 진리 그 자체는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감자쌤 : 저는 여러분에게 사회적 실천들이 어떻게 앎의 영역을 만들어내기에 이르렀는지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앎의 영역들은 단지 새로운 사물과 관념, 기술들을 만들어냈을 뿐만 아니라 완전히 새로운 인식주체와 인식주체들의 존재형태가 발생하게 했습니다. 인식주체는 그 자체의 내력, 주체와 대상의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엄밀히 말하자면 진리조차도 그 내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Ainsi, j’aimerais particulierèment montrer comment on a pu former, au ⅩⅨ(e) siècle, un certain savoir de l’homme, de l’individualité, l’individu normal ou anormal, dans ou hors la règle, un savoir qui, en vérité, est né des pratiques sociales de contrôle et de surveillance. Et comment, d’une certaine manière, ce savoir ne s’est pas imposé à un sujet de connaissance, ne s’est pas proposé à lui, ni ne s’est imprimé en lui, mais a fait naître un type absolument nouveau de sujet de connaissance. L’histoire des domaines de savoir en relation avec les pratiques sociales, en excluant le primat d’un sujet de connaissance donné définitivement, est un premier axe de recherche que je vous propose.

Le deuxième axe de recherche est un axe méthodologique, que l’on pourrait appeler analyse des discours. Ici encore il existe, il me semble, dans une tradition récente mais déjà acceptée dans les universités européennes, une tendance à traiter le discours comme un ensemble de faits linguistiques liés entre eux par des règles syntaxiques de construction.

 

따라서 저는 특히 보여드리고 싶습니다. 사람들이 어떻게 19세기에 개체성 즉 정상적이거나 비정상적인 개체에 대한 지식, 인간에 대한 특정한 지식을 만들 수 있었는지. 규범의 안팎에서 그 지식은 실제로 통제와 감시에 관한 사회적 실천들을 태어나게 했습니다. 그리고 어떤 면에서는 그 지식은 인식주체에게 강요되지 않았으며 그들에게 제안되지 않았고 또 완전히 새로운 유형의 인식주체를 나타나게 했습니다. 규정적으로 부여된 인식 주체의 우월성을 배제함으로써 사회적 실천과 관계있는 앎의 영역의 역사는 연구의 첫 번째 축이 되겠습니다.

연구의 두 번째 축은 방법론적 축으로서 담론들의 분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의 관례이지만 이미 유럽 대학에서는 수용된, 담론을 구조에 대한 통사론적 규칙에 의해 일군의 언어학적 행위로서 연결하여 다루는 경향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Il y a quelques années, il était original et important de dire et de montrer que ce qui était fait avec le langage-poésie, litterature, philosophie, discours en général-obéssait à un certain nombre de lois ou de régularités internes : les lois et les régularités du langage. Le caractère linguistique des faits de langage a été une découverte qui a eu de l’importance à une époque déterminée.

Le moment serait alors venu de considérer ces faits de discours non plus simplement sous leur aspect linguistique, mais, d’une certaine façon – et ici je m’inspire des recherches réalisées par les Anglo-Américains – comme jeux, games, jeux stratégiques d’action et de réaction, de question et de réponse, de domination et d’esquive, ainsi que de lutte. Le discours est cet ensemble régulier de faits linguistiques à un certain niveau et de faits polémiques et stratégiques à un autre niveau. Cette analyse du discours comme jeu stratégique et polémique est, à mon sens, un deuxième axe de recherche.

몇 년 전에는 언어와 함께 행하는 것들이 -시, 문학, 철학, 담론 일반- 규범과 언어의 규칙성에 따르는 것을 말하고 드러내는 것이 근본적이고 중요한 것이었습니다. 언어 행위의 언어학적 특징은 특정 시기에 중요성을 띠었던 발견이었습니다.

그때는 그들의 언어학적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영국계 미국인에 의해 행해진 연구에서 영향을 받았던 놀이, 게임, 작용 반작용과 문답과 지배와 이탈과 대립의 전략 게임과 같은 특정 방법으로서 담론행위들을 고려하고 있었습니다. 담론은 어떤 일군의 특정 계급의 언어 행위들과 다른 계급의 공격적이고 전략적인 행위들을 규칙화한 집단입니다. 이런 담론 전략적이고 공격적으로 담론 분석을 하는 것은 내가 느끼기에 연구의 두 번째 축이 되겠습니다.

 

Enfin, le troisième axe de recherche que je veux propose, et qui va définir, par sa rencontre avec les deux premiers, le point de convergence où je me situe , consisterait en une réélaboration de la théorie du sujet.

마지막으로 제가 보여드리고 싶은 연구의 세 번째 축은 앞의 두 개의 축과 견줌(만남)으로써 제가 있는 지점을 곧 정의 하게 될 것인데, 이 축은 주체이론의 쇄신으로 구성됩니다.

Cette théorie a été profondément modifiée et renouvelée, au long des dernières années, par un certain nombre de théorie ou, plus sérieusement encore, par un certain nombre de pratiques, parmi lesquelles la psychanalyse se situe, bien sûr, au premier plan.

이 이론은 여러 개의 이론 혹은 더 깊게는 여러 가지 실천들에 의해서 지난 해들 동안 근본적으로 수정되었고 쇄신되었는데, 이 이론과 실천들 사이에는 물론 가장 중요한 위치에 정신분석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La psychanalyse a été certainement la pratique et la théorie qui ont réévalué de la plus fondamentale la priorité un peu sacrée conférée au sujet, qui s’était établie dans la pensée occidentale depuis Descartes.

정신분석은 확실히 가장 근본적인 우위, 주체에게 다소 신성하게 부여되고 데카르트 이후로 서구관념에 확립된 우위를 쇄신한 실천과 이론이었습니다.

 

Il ya deux ou trois siècles, la philoslphie occidentale postulait, de façon explicite ou implicite, le sujet comme fondement, comme noyau central de toute connaissance, comme ce dans quoi et à partir de quoi la liberté se révélait et la vérité pouvait éclore.

2~3세기 전에 서양철학은 명시적이거나 암시적인 방식으로 주체를 토대이자, 모든 지식의 중심부에 있는 것이자, 그 안에서 또 그로부터 자유가 발휘되고 진리가 피어날 수 있는 것으로 전제했습니다.
전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