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문톡톡

[이주의 한 문장] by. Ursula K. Leguin

작성자
En-joy
작성일
2020-09-29 02:39
조회
138
2020.09.25 / 규문 / En-joy step1 / A sentence of the week 08

<A Metter Of Trust> by. Ursula K. Leguin.

5주에 걸쳐 르귄의 <믿음의 문제> 번역을 끝냈습니다. 앞서 글을 쓸 때 믿는다는 건 이야기와 나 자신, 그리고 독자들을 믿는 것이라고 했는데요, 맹목적인 믿음이 아니라 마치 탱고 음악에 맞춰 우아하게 춤을 추는 두 사람에 비유하거나, 공중에 있는 단어들로 가득한 거미줄 위를 걷는 것처럼 매 순간 균형을 잡아야 하는 작업이라는 것이 기억에 남습니다. 덕분에 어두운 방에서 고뇌에 차 글을 쓰는 소설가 이미지가 한꺼풀 벗겨졌습니다. 글을 쓴다는 것에 대한 새로운 상상을 해볼 수 있어서 번역 내내 재미있었습니다. 그럼 이 주의 한 문장 보시죠~

 

민호

What’s the goal of revision? Clarity―impact―pace―power―beauty … all things that imply a mind and heart receiving the story. Revision clears unnecessary obstacles away so the reader can receive the story. That is why the comma is important. And why consistency is important. And why moral implications are important. And all the rest of the stuff that makes a story readable, makes it live. In revising, you must trust yourself, your judgment, to work with the receptive intelligence of your potential readers.

수정 작업의 목적은 무엇인가? 명료함, 효과, 속도감, 활력, 아름다움 등 이야기를 받아들이고 있는 정신과 마음이 있음을 시사하는 모든 것이다. 수정 작업으로 불필요한 장애물들이 제거됨으로써 독자는 이야기를 잘 이해할 수 있다. 바로 이 점이 쉼표가 중요한 이유다. 그리고 일관성이나 도덕적 함축이 중요한 이유다. 또 가독성을 높이는 나머지 모든 부분은 작품을 살린다. 수정 작업에서는, 자기 자신과 자신의 판단을, 그리고 작품을 읽고 이해하는 잠정적 독자들과 함께 작업한다는 사실을 반드시 믿어야만 한다.

 

건화

Writers who choose to try to establish mutual trust believe it is possible to attract readers' attention without verbal assault and battery. Rather than grab, frighten, coerce, or manipulate a consumer, collaborative writers try to interest a reader. To induce or seduce people into moving with the story, participating in it, joining their imagination with it.

Not a rape: a dance.

Consider the story as a dance, the reader and writer as partners. The writer leads, yes; but leading isn't pushing; it's setting up a field of mutuality where two people can move in cooperation with grace. It takes two to tango.

상호적 신뢰를 확립하고자 노력하는 작가들은 언어적 공갈 폭행 없이도 독자들의 관심을 끌 수 있다는 것을 믿는다. 독자와 협업하고자 하는 작가들은 소비자를 움켜쥐고, 겁주고, 강요하고, 조종하려 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독자의 흥미를 유도하고자 한다. 그들이 이야기와 함께 움직이고, 이야기에 참여하고, 자신들의 상상력을 그것에 연결 짓도록 설득하고 유혹함으로써.

강간이 아니라, 춤이다.

이야기를 춤으로, 독자와 작가를 댄스 파트너로 생각해보라. 그렇다. 작가가 리드하는 역할을 맡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리드한다는 것이 억지로 떠민다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 그것은 두 사람이 협력 속에서 우아하게 움직일 수 있는 상호작용의 장을 마련하는 것이다. 혼자서는 탱고를 출 수 없다.

 

보겸

What's the goal of revision? Clarity-impact-pace-power-beauty … all things that imply a mind and heart receiving the story. Revision clears unnecessary obstacles away so the reader can receive the story. That is why the comma is important. And why consistency is important. And why moral implications are important. And all the rest of the stuff that makes a story readable, makes it live. In revising, you must trust yourself, your judgment, to work with the receptive intelligence of your potential readers.

수정의 목표는 뭘까? 명확성-충격-속도-힘-아름다움 … 이야기를 받아들이는 정신과 마음을 암시하는 모든 것이 목표가 된다. 수정은 불필요한 장애물을 제거해서, 독자가 이야기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이 쉼표가 중요한 이유이다. 그리고 거의 올바른 단어가 아니라 올바른 단어가 중요한 이유이다. 그리고 일관성과, 도덕적 의미가 중요한 이유이다. 이렇게 이야기를 읽기 쉽게 만드는 나머지 모든 것들이 이야기를 생생하게 만든다. 수정할 때, 당신은 잠재적인 독자의 수용적 지능과 함께 작동하기 위해 당신 자신과 스스로의 판단을 신뢰해야 한다.

 

이우

Being a writer, conceiving a fiction, implies a reader. writing is communication, though that’s not all it is. One communicates to somebody. And what people want to read influences what people want to write. Stories are drawn out of writers by the spiritual and intellectual and moral needs of the writer’s people. But all that operates on a quite unconscious level.

Once again it is useful to see the writer’s work as being done in three stages. In the approach stage, it may be essential to think about your potential audience; Who is the story for? For instance, is it for kids? Young adults? Any special, limited audience calls for specific kinds of subject matter and vocabulary.

작가가 되고 소설을 구상한다는 것은 독자를 필연적으로 함축합니다. 글쓰기는 의사소통이지만 그게 전부는 아닙니다. 사람들은 누군가와 소통합니다. 그리고 사람들이 읽고 싶어 하는 것은 사람들이 쓰고 싶어 하는 것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야기는 독자들의 영적, 지적, 도덕적 필요에 의해 작가로부터 도출됩니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은 무의식적인 수준에서 작동합니다.

다시 한번, 작가의 작업은 3단계로 진행되는 것이 보기에 유용합니다. 접근 단계에서는 잠재적 독자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 필수적 일 수 있습니다. 이 이야기는 누구를 위한 이야기입니까? 예를 들어 어린이용인가요? 청소년? 특별하고 제한된 청중은 특정 주제와 어휘를 요구합니다.

 

지영

All this has been about the approach stage, the what-am-I-going-to-write stage. Now that I know, dimly or exactly, who I’m writing for—anything from my granddaughter to all posterity—I start writing. And now, at the writing stage, consciousness of audience can be absolutely fatal. It is what makes writers distrust their story, stick, block, start over and over, never finish. Writers need a room of their own, not a room full of imaginary critics all watching over their shoulders saying “Is ‘The’ a good way to start that sentence?” An overactive internal aesthetic censor, or the external equivalent—what my agent or my editor is going to say—is like an avalanche of boulders across the story’s way. During composition I have to concentrate entirely on the work itself, trusting and aiding it to find its way, with little or no thought of what or who it’s for.

But when I get to the third stage, revision and rewriting, it reverses again: awareness that somebody’s going to read this story, and of who might read this story, becomes essential.

이 모든 것은 ‘나는 무엇을 쓸 것인가’라는 접근 단계에 관한 것이었다. 어렴풋하게 혹은 정확하게 나의 손녀부터 모든 후대에 이르기까지 내가 누구를 위해 쓰고 있는지를 알면, 나는 글을 쓰기 시작한다. 그런데 글을 쓰는 단계에서 독자를 의식하는 것은 확실히 돌이킬 수 없는 일이 될 수 있다. 그것은 작가들로 하여금 자신의 이야기를 불신하고, 비난하고, 가로막고, 거듭 시작하고, 결코 끝나지 못하게 한다. 작가들은 자기만의 방이 필요하다. 그들의 어깨너머로 “그 문장을 ‘그’로 시작하는 게 좋은 방법이야?”라고 하는 가상의 비평가들로 가득 찬 방이 아니라. 내부의 지나치게 미학적인 검열관이나 외부에 상당하는 내 대리인 혹은 편집자가 하는 말은 이야기를 가로지르는 큰 바위들로 인한 산사태 같다. 글을 쓰는 동안 나는 이야기를 믿고 그것이 길을 찾도록 도우면서 작업 그 자체에 완전히 집중해야 한다. 무슨 이유인지 또는 누구를 위한 것인지 거의 혹은 전혀 생각하지 않고.

하지만 수정과 다시 쓰기라는 세 번째 단계에 이르면, 다시 반전된다. 누가 이 이야기를 읽을 것이고 누가 이 이야기를 읽게 될 것인지에 대한 인식이 필수적인 게 된다.
전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