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g

HCC- 08 수정 & 12 초벌

작성자
지영
작성일
2019-10-27 17:13
조회
51
(08)
In Western and many other cultures, during the centuries of antiquity and the Middle Ages, the measure of the human was the universe conceived as an ordered, beautiful whole, changing but in a regular manner and, in any case, balanced and coherent. The Greeks called this a “kosmos” precisely because its order was good, beautiful, and exemplary. The maxims of ancient sages, métron áriston (the best is the measure) or medén ágan (nothing in excess), were not only simple proverbs of common sense, but a clear and concise expression of the ancient conception of the universe. Thus, one ought to behave according to the measure the very universe gives. For Raimundo Panikkar,

고대와 중세 몇 세기 동안 서양을 비롯한 여러 문화권에서, 인간의 척도는 질서 정연하고 아름다운 전체로 여겨진 우주로서, 우주는 변화하면서도 일정한 규칙이 있으며, 어떤 경우에도 조화롭고 일관된 것이었다. 그리스인들은 이 우주를 바로 ‘kosmos'라고 명명했던 바, 그 질서는 선하고, 아름답고, 전형적인 것이었다. ‘métron áriston(중도가 최선이다)’ 또는 ‘medén ágan(무엇이나 지나치지 않게)’라는 고대 현자들의 격언은 단순이 상식적인 속담일 뿐 아니라 우주에 대한 고대적 이해를 보여주는 명확하고도 간결한 표현이다. 이런 의미에서 사람은 바로 그런 우주가 부여한 척도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 이 훌륭한 법칙인 ‘에우노미아(질서)’는 전근대 사회를 특징짓는 공통점이다. 레이먼드 파니카(Raimundo Panikkar 1981~2010)에 따르면,

(11)
A second aspect of modernity, coordinate with the emergence from the premodern cosmos of autonomous orders or spheres, is the affirmation of the modern individual with its own parallel autonomy. Dumont has described the individual, in a moral sense, as a part irreducible to the whole or a whole in itself. It cannot be said that modernity discovered consciousness and conscience, but it has radicalized them. Modern human beings discover in consciousness their deepest roots and recognize no norms other than those subjected to their own reason. Formerly, consciousness, reason, and spirit were writ large in the cosmos or in God. Now they are seen as aspects of the individual.

*(질문-'자율적 질서와 영역'이 ‘이탈’에 걸리는지 ‘전근대’에 걸리는지, of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고민하다 막혔습니다. 두 가지 가능한 해석 : ① 전근대 우주로부터의 자율적 질서들 혹은 영역들의 이탈과 같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근대성의 두 번 째 측면은 / ② 자율적인 질서들 혹은 영역들로서의 전근대 우주로부터의 이탈과 같은 것으로 간주 될 수 있는 근대성의 두 번 째 측면) 자신의 개별적이고 병렬적인 자율성을 지닌 근대 개인에 대한 긍정이다. 도덕의 문제에 있어서 뒤몽이 개인을 전체로 환원 될 수 없는 부분 또는 그 자신으로서 전체인 것으로 묘사했다. 근대성이 의식과 양심을 발견했다고는 할 수 없지만, 그것을 급진화 시켰다. 현대 인간은 의식 속에서 자신의 가장 깊은 뿌리를 발견하고 자기 자신의 이성으로부터 비롯된 것 외에 어떤 규범도 인정하지 않는다. 과거에 인식, 이성 그리고 정신은 우주나 신 안에 깊이 새겨져 있었다. 지금 그것들은 개인의 여러 측면으로 보여진다.
전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