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g

HCC 12번 교정 + 15번 번역

작성자
지영
작성일
2019-11-03 19:53
조회
74
(12) 채운샘 교정

A second aspect of modernity, coordinate with the emergence from the premodern cosmos of autonomous orders or spheres, is the affirmation of the modern individual with its own parallel autonomy. Dumont has described the individual, in a moral sense, as a part irreducible to the whole or a whole in itself. It cannot be said that modernity discovered consciousness and conscience, but it has radicalized them. Modern human beings discover in consciousness their deepest roots and recognize no norms other than those subjected to their own reason. Formerly, consciousness, reason, and spirit were writ large in the cosmos or in God. Now they are seen as aspects of the individual.

전근대 우주로부터 자율적인 질서 혹은 영역들이 출현하는 것과 연관된, 모더니티의 두 번째 측면은 각자의 동등한 자율성을 지닌 근대 개인에 대한 긍정이다. 뒤몽이 기술한 대로, 도덕적 의미에서 개인은 특정한 전체 혹은 그 자체로서의 전체로 환원불가능한 부분이다. 모더니티가 의식과 양심을 발견했다고 할 수는 없지만 그것들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기는 했다. 근대적 인간 존재는 의식 속에서 가장 심오한 근원을 발견했으며, 자기 자신의 합리성에 복종하는 규준 외엔 어떤 규준도 없음을 인식했다. 이전시대에는 의식, 합리성, 영혼이 우주 혹은 신 안에 커다랗게 각인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제 그것들은 개인을 구성하는 측면으로 이해된 것이다.

(15)  번역

Friedrich Nietzsche questioned the presumed innocence of reason, and almost at the same time Marxism, psychoanalysis, and the philosophies of language discovered another more powerful foundation: the possible end of history. Since the early part of the twentieth century, a frequent point of departure for thought has been the rejection of any common reason, that is, effectively, the belief that there is no reason at all. Some have even identified an intelligent order—whether cosmic, divine, or human—as the true cause of unhappiness. Consequently, freedom must come from mere automatism—through history, the libido, or language. It would not be difficult to find in the history of political, economic, psychological, or aesthetic doctrines of the late twentieth century examples of tools displacing workers. In these theories, reason refuses to establish ends since these are already given by the tool itself.

프리드리히 니체는 당연하게 전제된 이성의 순수성에 의문을 제기했고, 같은 시기에 마르크스주의, 정신분석 그리고 언어 철학은 또 다른 더 확실한 기반을 발견했다. 즉, 역사의 종말(마르크스주의, 정신분석, 언어 철학의 입장에서 니체적 방식에 비해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증명 가능한 토대를 찾았고, 그것이 역사의 종말이다. 주체/전체로서의 이성의 종말)이라는. 20세기 초부터 사유의 빈번한 출발점은 모든 보편적 이성에 대한 거부로, 이는 사실상 이성자체가 없다는 믿음이다. (② 20세기 초부터 사유는 모든 보편적 합리성에 대한 거부, 이는 사실상 이성 자체가 없다는 믿음에 대한 거부로부터 빈번하게 출발했다) 어떤 이들은 심지어 지적인 질서—우주적이든 신적이든 인간적이든 간에—가 불행의 진정한 원인이라 여기기조차 했다. 결과적으로 자유는 역사, 성적인 힘, 언어를 통한 단순한 오토매티즘(자동기술법)으로부터 비롯되어야 한다. 20세기 후반 정치적, 경제적, 심리적 또는 미적 교리의 역사에서 연구자들은 대체하는 도구들의 예를 찾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이론들에서 이성은 목적 설정을 거부한다. 왜냐하면 그것이 이미 도구 자체에 의해 주어졌기 때문이다.
전체 0